본문 바로가기

기타 이야기

온라인 수능 모의고사 사업기획안

온라인 수능모의고사 사업기획안







Part 1. 사업의 개요


Ⅰ. 온라인 수능 모의고사 사업이란?

- 대학수학능력시험(이하 수능)에 대비하여 현재 실시되고 있는 사설 모의고사를 시대적 흐름에 맞춰 웹에서 실시하여 오프라인보다 빠른 서비스(성적표, 오답 노트 등)를 제공하고, 여기서 파생되는 여러 가지 부가 제품(교육컨설팅, 입시컨설팅 등)까지 개발 및 판매하는 사업



Ⅱ. 사업의 특성

- 모의고사는 실제 수능에 대비하는 시험이므로 수능과 유사한 문제의 질이 확보되어야 한다.

- 정확한 위치 진단을 위해서는 시험에 응시하는 학생 수가 가능한 한 많아야 바람직하다.



Ⅲ. 타겟

- 1차 : 연합회 가입 학원

- 2차 : 전국의 고1,2,3 학생 및 재수생



Ⅳ. 사업 추진 일정

- 1단계(~ 2011년 10월) : 조직 구성 및 출제(검토) 교사 섭외

- 2단계(~ 2012년 2월) : 장비 및 시스템 구축, 학년별 1회 모의고사 개발 및 시행

- 3단계(~ 2012년 8월) : 입시컨설팅 프로그램 개발

- 4단계(~ 2012년 12월) : 교육컨설팅 프로그램 개발

- 5단계(2013년 1월 ~) : 교육 관련 사업 확대



Ⅴ. 비젼

- 교과서를 비롯한 각종 교육 관련 제품들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전환되고 있는 시점에서 다른 업체보다 먼저 시장을 선점하여 업계의 선두 주자가 될 수 있다.

- 현재의 사설 모의고사 업체들이 교육 당국의 정책(학교에서의 사설 모의고사 금지)으로 인해 시장이 축소되고 있는 반면 학생과 학부모의 입장에서는 모의고사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들고 있으므로 온라인을 통한 모의고사 시장이 확대될 것이다.

- 또한, 평가 사업은 먼저 선점할 경우 여러 파생 상품들을 개발 및 판매할 수 있어 사업 영역의 확대에 유리한 조건을 갖게 된다.





Part 2. 사업(시장) 현황


Ⅰ. 시장의 현황 및 필요성

- 교과부 및 교육청의 사설 모의고사 규제로 인해 학교 단위의 수능 모의고사 실시가 어렵다.

- 고1, 2 중상위권 이상의 학생들에게 연2회 정도의 교육청 학력평가로는 위치 진단의 기회가 적다.

- 고3 수험생들은 사설 오프라인 모의고사의 규제에 따라 대안 제품이 필요하다.

- 재수생들은 경쟁 학원에서 실시하는 모의고사에 서로 참여하지 않아 실제 수능 경쟁자(상위권 수험생)가 배제된 모의고사에 참여하므로 자기 위치 진단이 부정확하다. 



Ⅱ. 외부 환경

- 교과부 및 교육청의 사설 모의고사 규제로 인해 학교 단위의 수능 모의고사 실시가 어렵다.

- 시대적 흐름에 따라 교육 관련 제품들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.



Ⅲ. 내부 환경

- 모의 영어능력시험(NEAT)의 개발 및 시행으로 웹개발 인적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.

- 연합회와의 관계를 바탕으로 회원사(학원)의 참여를 극대화 시켜 시장을 선점하는 기회를 만들어갈 수 있다.





Part 3. 제품 구성 계획


Ⅰ. 학년별 모의고사 문제지

- 고3 : 대학수학능력시험과 동일하게 구성하되, 직업탐구 영역과 제2외국어/한문 영역은 실시하지 않는다. 단, 10월에는 제2외국어/한문 영역 실시를 검토한다.

- 고1,2 : 5개 영역(언어, 수리, 외국어, 사탐, 과탐)의 실시를 기본으로 하되, 3개 영역(언어, 수리, 외국어)만을 시행하는 것도 검토한다.



Ⅱ. 학년별 성적표(자기 위치 진단)

- 사설(오프라인) 모의고사 기관에서 제공하는 성적표의 내용과 유사하거나 그 이상의 분석 자료를 제공한다.



Ⅲ. 개인별 오답 노트

- 개인별 틀린 문항이나 본인이 선택한 문항에 대하여 복습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.



Ⅳ. 개인별 교육컨설팅 자료 및 상담 (사업 확대)

- 현재 고가에 판매되고 있는 기존의 오프라인 시장을 상대로 경쟁력 있는 가격의 온라인 컨설팅 자료를 개발 제공한다.





Part 4. 조직 구성 및 업무 분장


Ⅰ. 지원 조직 : 경영진을 보필하며, 각 부서의 업무를 지원하는 조직

- 총무부 : 회사의 전반적인 지원 업무를 담당(구매, 인사 등)

- 경리부 : 회사의 전체적인 자금의 운영 및 관리를 담당



Ⅱ. 개발 조직 : 제품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조직

- 교과개발부 : 각 교과별 출제 관리와 문항 검토 및 편집을 담당

- 평가관리부 : 성적 처리 관련 로직 개발 및 평가 분석을 담당

- 웹개발부 : 교과개발부 및 평가관리부에서 만든 컨텐츠의 운영 및 관리를 담당



Ⅲ. 영업 관리 조직 : 제품의 영업 및 시장을 관리하는 조직

- 마케팅부 : 사이트 광고 영업 및 제품 홍보를 담당

- 영업관리부 : 학원 관리 및 매출 수금을 담당





Part 5. 마케팅 전략


Ⅰ. 초기 시장 확보가 최대 우선 과제

- 모의고사 사업은 참여 집단의 규모가 사업의 성패를 좌우하므로 초기에 집중적이고 공격적인 마케팅이 필요함.



Ⅱ. 학원과의 윈윈 전략 강구

- 학원 강사 또는 원장들의 요구에 맞는 성적 분석 프로그램 개발 등 참여하는 학원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각종 서비스를 개발하여 제공

- 홈페이지(모의고사 실시) 사이트를 통한 학원 홍보 시스템 도입.



Ⅲ. 저가로 기존의 사설 모의고사와의 경쟁력 확보

- 현재 사설 모의고사의 가격인 8,000원의 37.5%인 3,000원으로 경쟁력 확보





Part 6. 손익 계산


Ⅰ. 연간 손익 ➡ 78억 원


Ⅱ. 연매출(학년별 5회 실시) ➡ 135억 원

 ◎ 제품 단가

   - 모의고사 : 3,000원(성적표 제공 포함)

   - 오답노트 : 3,000원

 

 ◎ 고3 (1회 기준) ⇨ 13억 5천만 원

   - 참여 인원 : 최소 30만 명

   - 모의고사 매출 : 9억 원 (3,000원 × 300,000명 = 9억 원)

   - 오답노트 매출(50% 참여시) : 9억 원 (3,000원 × 150,000명 = 4.5억 원)


 ◎ 고1,2 (1회 기준) ⇨ 13억 5천만 원

   - 참여 인원 : 학년별 최소 15만 명

   - 모의고사 매출 : 9억 원 (3,000원 × 300,000명 = 9억 원)

   - 오답노트 매출(50% 참여시) : 9억 원 (3,000원 × 150,000명 = 4.5억 원)


 ◎ 기타 매출 ⇨ ?

   - 사이트 광고 매출 등



Ⅲ. 연지출 ➡ 57억 원(?)

 ◎ 제품 개발비 ⇨ 6억 원

   - 제품 1회 개발비 (문항 출제 관련 경비)

     : 고1,2는 각 3천만 원, 고3은 6천만 원


 ◎ 인건비 ⇨ 17억 5천만 원

   - 직원 수 : 35명(지원 5명, 개발 25명, 영업 5명)

   - 평균 연봉 : 4천만 원

   - 급여 : 14억 원 (35명 × 40,000,000원 = 14억 원)

   - 기타 인건비(연봉대비 25% 산정) : 3억 5천만 원(퇴직급여, 복리후생비, 4대보험료 등)


 ◎ 운영비 ⇨ 33억 5천만 원

   - 마케팅비 : 30억 원(영업 관리비 포함)

   - 사무실 임대료 : 1억 2천만 원

   - 서버 운영비 : 1억 2천만 원

   - 각종 공과금 : 1억 1천만 원





Part 7. 문제점 및 대책


Ⅰ. 모의고사 사업은 업체 및 제품의 신뢰성이 중요하므로 신생 업체에 불신 우려

  ⇨ 첫 회를 실시하기 전에 양질의 샘플을 제작하여 시연(홍보)

  ⇨ 첫 해에는 문항의 질을 확보할 수 있는 충분한 개발 기간 또는 인력 확보


Ⅱ. 모의고사는 일반 교재와 달라 모의고사 담당 경험이 있는 교과 및 평가 담당자가 필요

  ⇨ 현재의 사설 모의고사 업체의 직원 또는 퇴직 직원을 확보


Ⅲ. 수십만 명의 학생이 동시에 접속해서 응시하기 때문에 서버가 다운되거나 느려지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음

  ⇨ 안정된 서버 장비의 구비 및 관리가 필요


Ⅳ. 온라인에서 문제 풀이가 용이하지 않은 영역(언어, 수리)이 있음

 → 언어 : 지문이 한 화면에 보이지 않아 문제 풀이에 어려움 발생

 → 수리 : 오프라인에서는 문제 옆의 여백에 풀이를 할 수 있지만, 온라인에서는 문제의

            화면과 별도 풀이에 필요한 용지를 사용해야 하므로 문제 풀이에 어려움 발생

  ⇨ 보완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

  ⇨ 시험 시간 조정 등의 대책 강구 (적정 시간 검토)